728x90
1. 이글을 쓰게된 이유
- "박종훈의 지식한방"을 보면서 직접 확인해보고 머리속으로 정리해보고자 이 글을 쓰게되었으며, 동영상 제목은 "한국 인터넷 속도 하위권, 어쩌다 IT강국이 AI후진국이 됐나?"로, 우클라(Ookla) 사이트에 직접 들어가서 확인해보고 이글을 정리하였다.
2. 우클라(Oolka)?
- 우클라(Ookla) : 글로벌 인터넷 속도 측정 서비스 '스피드테스트(SpeedTest)'를 운영하고 있는 업체이며, 여러 분야의 Speedtest data를 제공하고 있다.
- 홈페이지
- https://www.speedtest.net/global-index
Speedtest Global Index – Internet Speed around the world – Speedtest Global Index
Find out which countries have the fastest internet speeds in the world. View global monthly comparisons of fixed and mobile internet speeds.
www.speedtest.net
3. 인터넷 속도 - 글로벌 평균 (자료 : 우클라)
- 우클라(Ookla) 사이트에 있는 글로벌 인터넷 평균 속도를 정리해 보았다. 첫번째 그림은 제목이며 윗부분을 보면 2024년 9월의 속도테스트 결과를 나타냈음을 알수있다.


4. 인터넷 속도 - 국가별 순위 (자료 : 우클라)
- 인터넷 사이트에서 캡쳐한 아래 그림은 국가별 모바일 속도(왼쪽), 인터넷 속도(오른쪽)를 표시한것이며, 대한민국은 왼쪽 모바일 속도부분에서 4위에 위치하고 있는걸 볼 수 있다.
- 인터넷 속도 부분에서 대한민국은 아래 그림에서는 없으며, 우클라 사이트에서 확인해 보면 28위에 위치하고 있는걸 알 수 있다.
- 두부문에서 선두는 단연 아랍에미리트이다. 모바일 부문에서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쿠웨이트, 대한민국, 네덜란드, 덴마크 순이며, 인터넷속도 부문에서는 싱가폴, 아랍에미리트, 홍콩, 칠레, 미국, 태국, 프랑스, 덴마크 순으로 순위가 형성되있다.
5. 유럽의 데이터센터 유치 경쟁(덴마크) (자료 : 인터넷검색, 한국일보-2023년초에 기사화된 내용을 일부 인용하였다.이 기사의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다.)
- 구글·애플·마이크로소프트·메타...세계 경제를 좌우하는 빅테크 기업들엔 공통점이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덴마크에 초대형 데이터 센터를 지었거나 짓고 있다는 점이다.
- 빅테크 4사는 2030년까지 글로벌 공급망 전체의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발표했다. 데이터센터 가동에 드는 막대한 양의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바꾸는 것이 필수이며, 이 기업들이 덴마크를 찾아온 이유이기도 하다. 덴마크 투자청 관계자는 “우리는 이미 전력의 75%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한다”며, “탈탄소 경영을 원하는 기업의 문의도 계속된다”고 말했다. 덴마크 투자청에 따르면,
- 현재 애플·구글·메타는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4곳을 운영 중이고, 마이크로소프트가 2024년까지 3곳을 완공할 예정이다.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란 연면적 2만2,500㎡가 넘고 최소 10만 대 이상의 서버를 갖춘 경우를 말한다.
- 애플의 경우 2020년 완공한 데이터센터에 약 2조3600억 원을 투자했다. 메타는 지난해 말 20만㎡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추가로 짓겠다고 발표하면서 약 2조4000억 원이 넘는 투자를 약속했다.
- 고용창출 효과도 크다. 메타는 새 데이터센터 건설에 1,300여 명, 완공 후 운영에 300여 명의 직원을 채용하겠다고 밝혔다. 구글은 지역사회 청년들을 데이터센터 기술자로 양성하는 교육과정을 운영중이며,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온오프라인으로 20만 명 이상에게 디지털 기술 교육을 제공할 계획이다.
- 전력 수급부분을 보면 100% 재생에너지 사용을 원하는 기업들이 직접 발전소를 짓고 있기 때문에 구글은 덴마크 전역 5개 태양광발전소에 투자했으며, 애플 역시 50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를 지은 데 이어, 높이 200m의 세계 최대 규모 육상풍력발전기 2대를 설치하겠다고 발표했다.
- 나아가 기업들은 데이터센터 가동 시 발생하는 열을 지역난방에 공급하고 있다. 덴마크 정부가 폐열 활용 기업의 세금을 감면한 것도 크게 작용했다.
- 유럽 각국은 데이터센터 유치를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아시아 등 다른 지역보다 재생에너지 전환이 빠른 만큼 이를 선점하겠다는 것이다.
6. 데이터센터 후진국으로 전락한 대한민국 (자료 : 인터넷검색)
- 대한민국도 최근 전라남도가 ‘2030년까지 글로벌 데이터센터 10개소를 유치하겠다’는 목표를 밝혔으며, 이는 재생에너지 잠재량이 전국 1위인데다, 현재 전국 재생에너지의 20%를 생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력수급 문제, 인터넷 인프라 확장, 송전선로 확장 등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한 아무의미 없는 얘기가 되버린다.
- 비슷한 예로 네덜란드는 메타의 초대형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려 했지만, 막대한 에너지수요 감당이 어렵고, 재생에너지 생산량도 충분하지 않다는 지역주민 반대에 부딪혀 건립이 중단됐다.
- 대한민국도 마찬가지로 도심지 또는 주거단지 인근에 데이터 센터를 건립하고자 하면 주민들의 반대로 위치가 바뀌거나 취소된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 그렇다!! 데이터센터 유치는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 쉬운 일은 아니다. 왜? 글로벌 기업들은 덴마크에 초대형 데이터 센터를 지었을까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 윗글에서 인터넷 속도를 언급한 이유를 본절과 연결해보면, 2010년대만 해도 인터넷 속도는 대한민국이 세계 1위였다. 우클라 사이트에서 보면 인터넷 속도 순위는 현재 28위...누가 이렇게 인터넷 속도 순위를 낮춰(?)놓았는가!!
- 인터넷 속도 1위 국가(이전에)인 아랍에미리트가 왜 빠른속도로 발전하고 있는가를 이제야 알게됐다. 다른 한편으론 이 블로그에 글을 올리면서 간간이 코인니스에 올라오는 아랍에미리트의 암호화폐에 대한 발빠른 투자 및 인프라 확장에 대해 항상 궁금했다. 그러나 그것 또한 궁금증이 해소되었다. 인터넷 속도 데이터 순위가 그것을 일부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 한국일보 기사에 보면 대한민국 정부와 이동통신사업자들은 우클라의 테스트 결과 신뢰성에 강한 의문을 가지고 있다고 했으며, 국내 통신업계 관계자는 "국내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경우 상품에 따라 속도가 각기 다른 측면이 있다. 1Gbps 상품의 경우 속도가 900Mbps를 넘어서는 만큼 (이들의 데이터가) 무엇을 근거로 측정된 것인지 명확히 밝혀야 공신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7. 결론(같이 생각해보는 시간..)
-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저는 위의 기사와 경제 동영상을 보면서 대한민국의 미래가 매우 어둡다는 사실을 말하고 싶습니다. 지금 국내 경제는 빅테크 기업들을 따라가지 못하는 삼성부터 무너지고 있으며, 젊은 공학 기술자들 상당수는 해외로 나가고 있는 실정입니다.
- 이글의 주제뿐만 아니라 저출산 문제, 부동산 문제, 개인사업자 대출/폐업문제, 지역불균형 문제, 정치문제 등등....후진국으로 갈 수밖에 없는 너무 많은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우리는 지금부터 무엇을 준비하고 살아야 할까요? 그냥 각자도생 인가요? 10년뒤 돈벌꺼리가 과연 얼마나 있을까요? 우리 애들은 들어갈 직장이 충분할까요? 아프지 않고 병원에 안가고 살수있을까요? 우리 부모님들은 건강하게 잘 계실까요?......답답해 집니다.....(참고로 저는 50대 초반입니다.)
- 아래 그림은 통계청에서 2024.08.28에 발표한 "2023년 출생 통계" 내용중 과거인구 그래프입니다. 이 그래프를 보시고 우리가 지금 현재 무엇을 준비하며 살아야 하는지를 스스로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2013년 : 436.5천명, 2017년 : 357.8천명, 2023년 : 230.0천명)
728x90
'경제이야기 > 대한민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역거래와 스테이블 코인(대한민국) (0) | 2025.02.24 |
---|---|
한국은행의 RP(환매조건부채권) 매입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