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전환사채(Convertible Bond, CB)란?
- 전환사채는 채권의 형태로 발행되지만, 일정 기간 이후 발행 기업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금융 상품입니다. 이는 채권 투자자에게 고정적인 이자를 제공하는 동시에 주식 전환을 통해 주가 상승에 따른 자본 이득을 얻을 기회를 제공합니다.
2. 전환사채의 주요 특징
- 이자 지급 : 채권으로 발행되므로 고정적인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채권에 비해 이자율은 낮은 편입니다.
- 전환권 : 투자자는 일정한 조건(전환가액 및 전환 기간)에 따라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 전환가액 : 주식으로 전환될 때 적용되는 주당 가격입니다. 이는 사채 발행 시 미리 정해집니다.
- 전환 기간 :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간으로, 보통 전환사채 발행 후 일정 기간 이후부터 전환 가능합니다.
- 안정성과 성장성 : 채권의 안정성과 주식의 성장성을 동시에 노릴 수 있는 구조입니다.
3. 전환사채의 장점
- 투자자 관점 : 안정성-채권으로 이자를 받으며, 주식으로 전환하지 않을 경우 만기 시 원금 상환을 받을 수 있음. 수익성-주식으로 전환 시 주가 상승에 따른 자본이득을 얻을 수 있음.
- 기업 관점 : 낮은이자부담-일반 회사채보다 낮은 이자율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음. 자금조달용이-주식 전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투자자 유치가 더 쉬움.
4. 전환사채의 단점
- 투자자 관점 : 주가하락위험-발행 기업의 주가가 전환가액 이하로 떨어질 경우 전환 매력이 감소. 이자율낮음-일반 채권보다 이자율이 낮아 고정 수익률이 떨어질 수 있음.
- 기업 관점 : 주식희석화-채권이 주식으로 전환되면 기존 주주들의 지분율이 희석됨. 채권상환부담-주가가 크게 하락할 경우, 투자자가 전환하지 않고 원금을 요구할 가능성 존재.
5. 전환사채 발행 절차
- 발행 조건 결정 : 전환가액, 전환 기간, 이자율, 만기 등을 결정.
- 발행 승인 : 이사회나 주주총회에서 발행 승인.
- 공모 또는 사모 방식 발행 : 투자자를 모집하여 자금 조달.
- 전환 가능 기간 도래 : 투자자가 원하는 시점에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 가능.
- 만기 시 상환 : 전환되지 않은 채권은 만기 시 원금과 이자를 상환.
6. 전환사채 활용 사례
- 스타트업과 신생 기업 : 높은 성장 가능성이 있지만 초기 자금 조달이 어려운 기업들이 낮은 이자율로 자금조달하는 데 사용.
- 재무 구조 개선 : 기존 부채를 갚거나 신규 사업을 위해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려는 기업들이 전환사채를 발행.
- 주가 관리 : 기업이 주식 전환을 유도하여 부채를 줄이고 자기자본비율을 높이는 데 사용.
7. 주요 용어 정리
- 전환가액 조정 (리픽싱) : 발행 후 주가가 하락하면 전환가액을 낮춰 투자자 보호.
- 콜옵션 : 기업이 일정 조건 하에 전환사채를 미리 상환할 수 있는 권리.
- 풋옵션 : 투자자가 일정 조건 하에 기업에 조기 상환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
8. 전환사채와 유사 금융 상품 비교

※ 자료 : ChatGPT, Naver 검색
728x90
'경제이야기 > 용어(경제+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O 20022를 지원하는 주요 암호화폐 프로젝트 (0) | 2025.02.23 |
---|---|
ISO 20022와 암호화폐의 관계 (0) | 2025.02.23 |
ICO, IEO, IDO, STO (0) | 2025.02.23 |
스테이블 코인 (0) | 2025.02.23 |
TVL(Total Value Locked)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