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용어(경제+코인)

ICO, IEO, IDO, STO

728x90

1. ICO (Initial Coin Offering)

  • 정의 : ICO는 프로젝트 팀이 직접 발행한 암호화폐(토큰)를 투자자에게 판매하여 초기 자금을 모으는 방식임.
  • 특징 : 블록체인 프로젝트에서 가장 처음 사용된 자금 조달 방식. 프로젝트 팀이 자체적으로 관리하고 운영. 일반 투자자 누구나 참여 가능. 대체로 프로젝트의 웹사이트에서 이루어짐.
  • 장점 : 진입 장벽이 낮아 투자자 유치가 쉬움. 초기 투자자에게 큰 수익 가능성 제공. 탈중앙화적 성격을 유지
  • 단점 : 규제 부족으로 인해 사기(스캠) 사례가 많음. 프로젝트 성공 여부의 불확실성 큼. 투자자 보호 장치 부재.

2. IEO (Initial Exchange Offering)

  • 정의 : IEO는 거래소가 주관하는 토큰 판매 방식으로, 거래소가 프로젝트를 대신해 토큰 판매를 진행함.
  • 특징 : 중앙화된 거래소에서 진행. 거래소가 프로젝트를 검증하여 리스트에 올림. 거래소 계정을 통해 참여 가능.
  • 장점 : 거래소의 신뢰를 기반으로 투자자 신뢰도 향상. 거래소 플랫폼에서 직접 거래 가능. 상대적으로 스캠 위험이 낮음
  • 단점 : 거래소에 높은 수수료를 지급해야 함. 투자자 접근성이 거래소 사용자로 제한됨. 중앙화로 인해 프로젝트 자유도 감소

3. IDO (Initial DEX Offering)

  • 정의 : IDO는 탈중앙화 거래소(DEX)를 통해 토큰을 판매하는 방식으로, 탈중앙화된 환경에서 이루어짐.
  • 특징 : 스마트 계약을 통해 진행. 탈중앙화된 환경에서 실행되어 규제가 적음. 즉시 거래 가능하며 유동성 풀 제공.
  • 장점 : 진입 장벽 낮음(지갑만 있으면 참여 가능). 탈중앙화 거래소에서의 자유로운 거래. 빠른 유동성 제공 가능
  • 단점 : 높은 변동성과 낮은 규제. 초기 유동성 부족으로 가격 급변 가능. 사용자가 기술적 지식이 필요함.

4. STO (Security Token Offering)

  • 정의 : STO는 증권형 토큰을 판매하는 방식으로, 법적 규제를 준수하며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임.
  • 특징 : 발행된 토큰은 증권의 성격을 가짐. 법적 요구 사항과 규제에 따라 엄격히 진행.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실물 자산과 연계 가능.
  • 장점 : 규제 준수로 투자자 신뢰도 상승. 실제 자산과 연계 가능, 내재 가치 보유. 법적 보호로 인해 위험이 적음.
  • 단점 : 복잡한 규제 절차로 인해 발행 비용 상승. 일반 투자자 접근성 제한 가능성. 유동성이 ICO나 IEO에 비해 낮을 수 있음.

5. 비교

6. 요약

  • ICO는 초기 투자 접근이 쉬우나 위험이 크고, 규제가 부족합니다.
  • IEO는 거래소 신뢰도를 활용하지만 수수료와 제한이 존재합니다.
  • IDO는 탈중앙화의 이점을 제공하지만 초기 변동성과 규제 부족 문제가 있습니다.
  • STO는 규제와 신뢰를 기반으로 하지만 발행 비용과 절차가 까다롭습니다.
  • 결론은..프로젝트 성격, 투자자 대상, 자금 조달 규모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료 : ChatGPT, Naver 검색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