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용어(경제+코인)

2024년 헤데라 뉴스 - 하반기

728x90

1. 목적

  • 2024년 한해동안 헤데라해시그래프의 개발현황 및 호재 등을 정리하고, 왜 헤데라에 투자해야하는지 생각 및 정리해보기 위해 코인니스에 기사화된 1년간의 헤데라 소식을 모아봤습니다.
  • 이글은 투자권유는 아니며 투자 판단은 스스로 하시기 바랍니다. 항상 확신이 있는 많큼만 여유돈으로 투자를 하여야 하며, 아무리 좋은 코인이라 하더라도 고점에서는 팔아야하고 저점에서는 확신이 있는 만큼만 사야합니다.
  • 글이 길수 있으니 관심이 없으신 분은 그냥 패스하시기 바랍니다.

2. 2024년 헤데라 뉴스(최신순, 하반기) (자료 : 코인니스)

  • 12월 28일 - 2024년 가격 상승폭이 가장 큰 코인 10 : 포브스가 시가총액이 50억 달러 이상인 암호화폐 중 올해 가격 상승폭이 큰 코인 상위 10개를 정리했다. 1. PEPE: 1570.7% 상승 / 시총 90억 달러 2. SUI: 509% 상승 / 시총 137억 달러 3. DOGE: 333.1% 상승 / 시총 569억 달러 4. XRP: 303.9% 상승 / 시총 1423억 달러 5. HBAR: 247.7% 상승 / 시총 115억 달러 6. XLM: 233.4% 상승 / 시총 129억 달러 7. TON: 155.6% 상승 / 시총 146억 달러 8. TRX: 155.1% 상승 / 시총 237억 달러 9. SHIB: 150.1% 상승 / 시총 152억 달러 10. BTC: 135.9% 상승 / 시총 2조 달러
  • 2월 19일 - 밸러, 유로넥스트 암스테르담서 HBAR ETP 출시 : 스위스 암호화폐 ETP 제공업체 밸러가 유럽 유로넥스트 암스테르담에 헤데라해시그래프(HBAR) ETP를 상장했다고 밝혔다. 이번 헤데라 ETP는 최초의 헤데라 관련 상품으로 기관·개인 투자자 모두 투자 가능하다.
  • 12월 19일 - 해시키글로벌, VIRTUAL·HBAR·ALGO·AERO 무기한 선물 상장 : 해시키그룹 산하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해시키글로벌(HashKey Global)이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버츄얼프토토콜(VIRTUAL), 헤데라(HBAR), 알고랜드(ALGO), 에어로드롬(AERO) 무기한 선물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해당 종목들은 최대 20배 레버리지 거래가 지원되며, 결산은 USDT로 진행된다. 펀딩비율 상하한은 ±0.75%, 8시간마다 정산이 이뤄진다.
  • 12월 18일 - 애널리스트 "내년 암호화폐 ETF 붐 예상... 첫 상품은 BTC+ETH 콤보 ETF" : 블룸버그 수석 ETF 애널리스트 에릭 발추나스(Eric Balchunas)가 X를 통해 "내년 암호화폐 ETF 붐이 예상되지만, 한꺼번에 다 나오지는 않을 것이다. 가장 먼저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상품은 BTC+ETH가 합쳐진 ETF다. 그 다음은 LTC(BTC의 포크상품이기 때문), 그 다음은 HBAR(증권으로 분류되지 않았기 때문), 그 다음은 XRP/SOL(계류 중인 소송에서 증권으로 분류됨)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 12월 16일 - 헤데라, 체인링크 탈중앙화 데이터 인프라 통합 :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헤데라(HBAR)가 체인링크(LINK)와 협업해 탈중앙화 데이터 인프라를 통합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협업을 통해 헤데라는 체인링크 데이터 피드를 활용, 개발자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실시간 금융 데이터를 제공하고 체인링크 리저브 증명 기능을 통해 디파이(DeFi) 프로젝트 보안과 투명성을 강화할 예정이다.
  • 12월 5일 - 분석 "XRP·ADA 등 펀딩 비율 상승...조정 가능성" : 코인텔레그래프가 코인글래스 데이터를 인용, 일부 알트코인 가격이 급등하고 펀딩 비율이 높아지면서 조정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매체는 "HBAR, XLM, XRP, ALGO, ADA 등 일부 알트코인의 무기한 선물 펀딩 비율은 월 4~6% 수준이다. 강한 상승장에서는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가격이 횡보하거나 하락하면 트레이더의 마진이 빠르게 잠식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도 "현재 ADA와 XRP의 펀딩 비율은 지난 6개월에 비해 높은 편이지만 여전히 12개월 최고치보다는 낮다. 이는 알트코인이 여전히 레버리지 중심의 추가 성장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부연했다.
  • 12월 2일 - 모건크릭 CEO "알트코인 중 SOL·ADA·XRP·DOGE·HBAR 선호" :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미국 투자사 모건크릭캐피털매니지먼트(Morgan Creek Capital Management)의 최고경영자(CEO) 마크 유스코(Mark Yusko)가 유튜브 채널 알트코인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솔라나(SOL), 카르다노(ADA, 에이다), 리플(XRP), 도지코인(DOGE), 헤데라(HBAR) 등 5종의 알트코인을 가장 선호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내가 잃어도 되는 돈이 있다면 ADA, XRP, HBAR에 베팅할 것이다. 또 지속적인 직원들의 설득에 SOL를 꽤 편애하게 됐다. 나아가 DOGE를 보유하지 않는 것은 미국 최고 부호로 우뚝 선 일론 머스크를 상대로 도박을 하는 것과 같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전통 금융(TradFi) 부문의 일부 기업들은 뒤처지지 않기 위해 결국 암호화폐를 도입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11월 27일 - 바이낸스, APE/USDC 등 13종 거래페어 추가 : 바이낸스가 오는 28일 17시(한국시간) APE/USDC, BOME/EUR, EIGEN/USDC, HBAR/FDUSD, MEME/USDC, TROY/USDC, WLD/EUR 거래페어를, 오는 29일 17시 1MBABYDOGE/USDC, CETUS/USDC, COW/USDC, DYDX/USDC, HMSTR/USDC, TURBO/USDC 거래페어를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 11월 26일 -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알트코인 현물 ETF 승인, 내년 말까지 기다려야 할 수도" : 진써차이징에 따르면,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가 최근 보고서에서 "솔라나(SOL), 리플(XRP), 라이트코인(LTC), 헤데라(HBAR) 등 알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되려면 2025년 말까지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비트코인, 이더리움(ETH)과 달리 알트코인은 CME 선물 시장에 상장돼있지 않다. 위즈덤트리와 21쉐어스가 리플(XRP) 현물 ETF를 신청했지만, 현재 규정으로는 시장 조작 및 수탁 문제 등 규제 준수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진 상장되기 어렵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암호화폐 친화적인 새 지도부가 구성된다면 ETF 상품에 담보 기능을 통합할 수 있는 정책을 펼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 11월 25일 - 바이낸스, CATI/USDC 등 6종 마진 거래 페어 추가 : 바이낸스가 CATI/USDC , FDUSD/USDC , HBAR/USDC , OM/USDC , RAY/USDC , TAO/USDC 마진 거래 페어를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 11월 20일 - 바이낸스, 11/22 APE/FDUSD 등 7종 거래페어 추가 : 바이낸스가 오는 22일 17시(한국시간) APE/FDUSD, FDUSD/USDC, HBAR/USDC, OM/USDC, RAY/USDC, TAO/USDC, TURBO/FDUSD 등 7종 거래페어를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 11월 20일 - 아책스, 대형 자산운용사 3곳 토큰화 MMF 익스포저 제공 :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영국 규제 적격 암호화폐 거래소 아책스(Archax)가 스테이트스트리트 등 대형 자산운용사 3곳의 토큰화 머니마켓펀드(MMF)에 대한 익스포저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미국 대형 자산운용사 스테이트스트리트(State Street), 글로벌 자산운용사 피델리티 인터내셔널(Fidelity International), 대형 자산운용사 LGIM(Legal and General Investment Management) 등이다. 해당 MMF는 우선 리플렛저(XRPL), 아비트럼(ARB), 헤데라 해시그래프(HBAR)에서 제공될 예정이다.
  • 11월 18일 - 헤데라 "프랑스 전력공사, 재생에너지 인증서 개념증명 완료" : 헤데라(HBAR)가 공식 미디움을 통해 "헤데라 카운슬 멤버인 프랑스 전력공사(EDF)가 재생에너지 인증서 관리 자동화 개념증명(PoC)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를 통해 최종 소비자는 재생에너지 인증서를 실시간 폐기할 수 있다. 이번 PoC를 위해 REDEX, Rekursive Labs와 협업했으며, 헤데라의 DLT(분산원장기술)과 오픈소스 가디언 플랫폼을 활용했다"고 전했다.
  • 11월 18일 - 카르다노 창시자 "암호화폐 규제 관련 미국 의원들과 적극 소통 중" : 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찰스 호스킨슨 카르다노(ADA, 에이다) 설립자가 최근 진행한 AMA에서 암호화폐 규제 논의를 위해 미국 의원들과 적극적으로 교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암호화폐 산업을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어필했다. 목소리를 높이기 위해 리플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와 헤데라 공동 창립자 리몬 베어드에 연락하기도 했다. 산업 리더들과의 협력이 규제 명확성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11월 13일 - 커네리 펀드, SEC에 HBAR ETF 증권신고서 제출 : 폭스비즈니스 기자 엘리노어 테렛(Eleanor Terrett)이 X를 통해 "암호화폐 투자사 커네리 펀드(Canary Funds)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HBAR ETF 증권신고서(S-1)를 제출했다. 지난 10월 커네리 펀드는 HBAR 트러스트 상품을 출시한 바 있다"고 전했다.
  • 10월 30일 - 나이로비 증권거래소, 헤데라 위원회 가입 :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헤데라(HBAR)가 블로그를 통해 아프리카 나이로비 증권거래소(NSE)가 헤데라 위원회 회원사로 합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NSE는 헤데라 네트워크를 활용한 토큰화 증권 개발 작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 10월 30일 - 헤데라, 체인링크 CCIP 도입 : 탈중앙화 오라클 네트워크 체인링크(LINK)가 오늘 새벽 공식 X를 통해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헤데라(HBAR)가 체인링크 스케일(레이어1·레이어2 지원 프로그램)에 합류했다. 아울러 헤데라는 체인링크 CCIP(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 프로토콜)를 도입했다"고 전했다.
  • 10월 25일 - 레이어제로, 헤데라서 출시 : 크로스체인 메시징 프로토콜 레이어제로(ZRO)가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헤데라(HBAR) 네트워크에서 출시됐다고 X를 통해 전했다.
  • 10월 24일 - 웹3 인프라 개발사 밸리데이션 클라우드, $1,000만 투자 유치 : 웹3 인프라 서비스 제공업체 밸리데이션 클라우드(Validation Cloud)가 트루글로벌벤처스 주도 펀딩 라운드에서 1,0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밸리데이션 클라우드는 체인링크(LINK), 앱토스(APT), 이더리움 인프라 개발사 컨센시스, 스텔라루멘(XLM), 헤데라(HBAR)를 고객사로 두고 있으며, 인공지능(AI) 플랫폼을 통해 온체인 데이터를 더 쉽고 빠르게 탐색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이번 투자금은 AI 제품 확장 및 웹3 개발에 사용될 예정이다.
  • 10월 23일 - 프로브AI, 캐스퍼서 헤데라로 마이그레이션 : 프로브AI(Prove AI· 전 캐스퍼)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캐스퍼 네트워크에서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헤데라(HBAR)로 마이그레이션 한다고 밝혔다.
  • 10월 17일 - 헤데라, 자산 토큰화 툴킷 출시 :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헤데라(HBAR)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자산 토큰화 툴킷 ‘헤데라 자산 토큰화 스튜디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툴킷은 헤데라 네트워크에서 토큰화 된 채권, 주식의 발행 및 관리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 10월 11일 - 가라테 컴뱃, 내년 1Q 헤데라 기반 L2 네트워크 출시 : 일본 대표 격투기 가라테 프로리그 가라테 컴뱃(Karate Combat)이 내년 1분기 헤데라(HBAR)기반 레이어2 네트워크 '업(UP)'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디크립트가 전했다. 업은 내년 자체 토큰도 발행한다. 총 공급량의 30%는 KARATE 토큰 홀더에게 분배될 예정이다.
  • 10월 1일 - 카나리아캐피털, 美 최초 HBAR 신탁 상품 출시 :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헤데라(HBAR) 재단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디지털 자산(암호화폐) 전문 투자사 카나리아캐피털그룹(Canary Capital Group, 이하 카나리아캐피털)이 첫 번째 신탁 상품으로 '카나리아 HBAR 신탁'을 출시했다고 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와 관련 재단 측은 "미국 최초의 HBAR 전용 투자 수단인 해당 신탁 상품은 적격 투자자들에게 HBAR에 대한 안전한 익스포저를 제공하는 사모 상품"이라고 설명했다.
  • 9월 20일 - 해시그래프 협회, 카타르서 디지털자산 활용 사례 모색 :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헤데라 해시그래프(HBAR) 협회가 카타르에서 향후 12개월 동안 디지털자산 활용 사례를 모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협회는 “카타르 내 디지털자산 업계 관계자 등과 함께 주식, 부동산 토큰화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 또 탄소 크레딧 등 지속 가능성에 중점을 둔 디지털자산 사용 사례도 살펴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 9월 17일 - 헤데라, '자산 토큰화 스튜디오' 오픈소스 툴킷 출시 : 크립토브리핑에 따르면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헤데라(HBAR)가 오픈소스 툴킷인 '자산 토큰화 스튜디오(Asset Tokenization Studio)'를 출시한다고 전했다. 채권·주식의 토큰화에 대한 기술적 장벽을 낮추고, 모든 자산 관리 세부 정보를 온체인에 저장해 보안을 강화하는 것이 주요 목표다.
  • 9월 17일 - 비영리단체 DSF, 미카 얼라이언스 출범... 헤데라·리플·앱토스 협력 :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비영리단체 DLT과학재단(DLT Science Foundation, DSF)이 미카 얼라이언스(MiCA Alliance)를 출범했다. 헤데라(HBAR), 리플(XRP), 앱토스(APT) 재단이 창립멤버로 참여했다. 이들은 내년 1월부터 발효되는 유럽 암호화폐 규제법 미카(MiCA)의 규정 준수 및 지속 가능성을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 9월 16일 - 헤데라, 리눅스 재단 탈중앙 이니셔티브로 코드베이스 이전 :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헤데라 해시그래프(HBAR) 재단은 최근 리눅스 재단이 출시한 리눅스 탈중앙 트러스트 이니셔티브로 코드베이스를 이전한다고 밝혔다. 해당 코드베이스에는 헤데라의 합의 알고리즘과 서비스, 도구, 라이브러리 등이 포함돼 있다.
  • 9월 12일 - 블록체인 음악 스타트업 튠에프엠, $5,000만 시드 투자 유치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블록체인 음악 스타트업 튠에프엠(Tune.fm)이 신흥시장 전문 투자사 글로벌이머징마켓(이하 GEM)으로부터 5,000만 달러 규모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투자금은 플랫폼 내 아티스트와 사용자 보상에 필요한 JAM 토큰 유동성 공급에 사용될 예정이다. 튠에프엠은 NFT 마켓플레이스를 갖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로 헤데라(Hedera) 블록체인으로 구동된다. 앞서 튠에프엠은 LDA캐피털(LDA Capital), 알파 토큰 캐피털(Alpha Token Capital), 블록 알파(Block Alpha), 애니모카 브랜드(Animoca Brands), HBAR 파운데이션(The HBAR Foundation) 등으로부터 30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 8월 13일 - 헤데라 재단, 코퍼와 파트너십 체결...HBAR 커스터디·스테이킹 서비스 제공 : 더블록에 따르면, 헤데라 해시그래프(HBAR) 재단이 암호화폐 커스터디 기업 코퍼(Copper)와 협업해 HBAR 토큰 커스터디 및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해데라 재단은 또한 코퍼의 클리어루프 시스템과 커넥트 플랫폼을 통해 기관 사용자들에게 온램프(법정화폐→암호화폐 환전)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 8월 7일 - 테크앤토크콘서트, 8/30 RWA 글로벌 서밋 개최 : 기술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컨퍼런스 테크앤토크콘서트가 8월 30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 빛의 라운지에서 '실물자산토큰화(RWA) 글로벌 서빗(Global Summit)'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는 웹3 브랜딩 컨설팅사 아텐티오(Attentio)가 주최했으며 △금융자산 토큰화 △글로벌 RWA 트렌드 △RWA 도입 위한 법적 이슈 등을 다룰 예정이다. 주요 연사로는 이종섭 서울대학교 교수, 홍제석 신한투자증권 선임을 비롯해 미나프로토콜(MINA), 레이어1 블록체인 아발란체(AVAX)와 헤데라(HBAR) 등이 참여한다.
  • 7월 20일 - 2~4월 RWA TVL 60% 증가...$80억 규모 : 헤데라 기반 DEX 소서스왑랩스(SaucerSwap Labs)가 "RWA(실물자산)은 디파이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올해 2~4월 RWA TVL은 60% 이상 증가해 약 80억 달러를 기록했다. 2023년 초부터 따지면 700% 이상 성장했다. 주요 글로벌 기관들은 상품, 부동산, 지식재산 등을 토큰화하려 하고 있다. 잠재적으로 수조 달러 상당 자산이 토큰화될 수 있다"고 전했다.

 

728x90

'경제이야기 > 용어(경제+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E 갭의 가격 기준  (0) 2025.03.03
CME GAP  (1) 2025.03.03
2024년 헤데라 뉴스 - 상반기  (0) 2025.02.23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지급준비금  (0) 2025.02.23
QT, TGA  (0) 2025.02.23